건강한/건강지원사업 5

2024 달라지는 "임신/출산/육아" 정책 및 혜택

2024년 새해부터 새롭게 도입되거나 달라지는 다양한 정책들이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출산, 보육, 육아등에 대해 다양한 제도들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2024년 달라지는 임신/출산/육아제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양육비 경감 및 지원 첫 만남 이용권 첫 만남 이용권 기존 지원 금액은 200만원이었는데요, 2024년부터 다둥이 출산시에 금액이 증액되었습니다 첫째는 200만원, 둘째부터는 300만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영유아 부모급여 24개월 이전 영유아에게 지원되는 부모급여가 0세는 월 7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1세는 월 35만원에서 50만원으로 증액되었습니다 ​ 어린이집 0~2세반 어린이집에서 0~2세반의 정원이 부족해서 운영하지 못하는 경우..

임신출산진료비지원 (임신바우처, 국민행복카드, 임신지원비)

이번에는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신 1회당 100만원 이용권(국민행복카드)지원 (다태아 임산부는 140만원, 분만취약지점 20만원 추가지원) 임신 출산 진료비는 무엇인가? - 임산부의 임신 및 출산과 관련된 진료비를 전자바우처 (국민행복카드)로 일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지원대상은 누구일까? 임신확인서로 임신이 확진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중 임신 및 출산 지원 신청자 입니다. 단, 제외대상자는 해당되지 않음 * 제외대상자 : 의료수급권자/ 유공자 등 의료보호 대상자로 건강보험의 적용 배제 신청을 한사람/ 주민등록 말소자/ 급여정지자 (특수시설수용자, 출국자) 지원신청방법 -임신부 본인 또는 그 가족 -임신부 본인이 신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고위험임신으로 불..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지원대상, 신청방법)

이번에는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원대상에 해당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먼저 소득기준과 질환기준을 확인해야합니다. 소득기준은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의 구성원인 임산부여야 하고 질환기준으로는 19대 고위험 임신질환으로 진단받고 입원치료 받은 임산부여야합니다. 19대 고위험 임신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조기진통, 분만관련 출혈, 중증 임신 중독증, 양막의 조기파열, 태반조기박리, 전치태반, 절박유산, 양수과다증, 분만전 출혈, 자궁경부무력증, 고혈압, 다태임신, 당뇨병, 대사장애를 동반한 임신과다구토, 신질환, 심부전, 자궁 내 성장 제한, 자궁 및 자궁의 부속기 질환 입니다. 그렇다면 얼마나 지원이 될 지 알아보겠습니다. 지원금액 1인당 300만원 한도이며 급여 중 ..

출산바우처 (첫만남이용권, 200만원 이용권, 신청방법)

이번에는 출산시 정부지원되는 바우처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지원대상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로서 출생 신고되어 정상적으로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을 지원합니다. 출생신고를 하시고 바우처 신청하시면 200만원의 첫만남이용권이 들어온다고 합니다. 보통 1주일 이내에 들어온다고 하니 출산하시고 꼭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사업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생아동 1인당 200만원이고 국민행복카드 이용권으로 보통 지급됩니다. 신청방법은 해당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직접방문하거나, 복지로 홈페이지 (www.bokjiro.go.kr), 정부24 (www.gov.kr)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하시면 되겠습니다.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산후도우미, 바우처, 신청방법)

안녕하세요 닥터 재재입니다. 날이 이제 조금씩 쌀쌀해지는데요 오늘은 산모 및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산후도우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소개할 지원사업은 산모 및 신생아 건강관리사가 일정기간 출산가정을 방문하여 산후관리를 도와주는 건강관리 서비스입니다. 먼저 어떤 서비스를 지원해주는지와 얼마나 서비스를 지원해주는지 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산모건강관리 (유방관리, 체조지원 등), 산모 식사준비, 산모 신생아 세탁물 관리 및 청소 그리고 신생아 건강관리 (목욕, 수유지원 등)를 지원해준다고 하니 신청 자격이 되시면 빼먹지 말고 꼭 신청 해주시기 바랍니다. 그렇다면 어떤 분들이 지원 가능한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원대상 지원자격은 다음과 같구요 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해당하는 경우와..